WHO WE ARE LOOKING FOR
Finance.
재무회계팀 이혜인입니다.
제가 속한 재무회계팀은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는데, 현재 저는 Treasurer로서 자금기획 및 운용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현금흐름을 예측하며, 그에 따라 사업영위에 필요한 자금수요예측을 합니다. 자금의 효율적 운용 및 안정적인 유동성 확보를 위해 다양한 자금조달수단 및 파생상품을 활용하며, 다양한 경제지표를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저희 팀은 회계, 세무, 자금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재무제표를 작성하며 경영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각종 세무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며, 법인세 및 부가가치세 등의 세무 업무를 총괄합니다.
또한 자금조달 및 운용계획을 수립하여 자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회사의 재무적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직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재무회계 및 세무에 관련된 전문지식이 필요합니다.
성실함과 꾸준함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지속적으로 재무 및 회계 지식을 습득하고 비즈니스 상황을 이해하려는 의지가 필요합니다. 또한, 재무회계팀은 타 부서나 본사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협업이 필요합니다. 이에 맞는 커뮤니케이션 능력도 필요합니다.
우리 회사는 서로를 존중하고 성장을 지원하는 훌륭한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양한 경험과 전문성을 가진 좋은 동료들과 함께 일하며, 서로의 역량을 높이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성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교육비 지원 및 회사 내부 교육을 통해서도 역량을 계속해서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재택근무 및 유연근무제를 통해 자유롭게 일할 수 있으며, 이는 업무와 개인 생활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 뿐 아니라, BMW 차량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서 차량을 좋아하는 분들에게는 특히 매력적인 환경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Controlling 팀에서 팀장으로 근무하고 있는 이윤근입니다.
국내 회사에서는 대부분 경영관리팀이라고 부르는데요, 회사에 주어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활동들을 검토하고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합니다. 쉽게 이야기하면 사내 모든 활동이 회사의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는지 관리감독 하는 역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다른 팀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하고, 파악한 정보를 management에게 정확히 전달하여 올바른 의사결정이 이뤄지도록 이끌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가장 중요한 역량인 것 같습니다. 거기에 재무적인 지식과 논리적인 사고력이 뒷받침된다면 더더욱 좋을 것 같습니다.
사람은 누구에게나 맞는 옷이 있듯이 저에게는 수평적인 커뮤니케이션과 자율적으로 일하는 문화가 잘 맞았다고 생각합니다. 더 깊이 생각하고, 내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그 생각으로 상대방을 설득하고, 실행도 해볼 수 있는 문화는 저에게는 가장 큰 혜택이었습니다.
반갑습니다. 기업여신 심사 및 모니터링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정회원이라고 합니다.
기업여신 적격성심사, 모니터링, 대출실행 및 회수까지 기업대출 전반에 대한 관리가 주 업무입니다.
아무래도 업무특성상 조직내외부 다양한 이해당사자와 의견조율이 필요한만큼 효과적+효율적 의사소통 능력이 요구되고, 또 대부분의 의사결정이 보고서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므로 글쓰기에 흥미를 가지고 있으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누구나 자유롭게 의사를 전달할 수 있는 환경, 다시 말해 개방적인 조직문화라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Purchasing & Vendor management 팀에서 Partner & Vendor management 업무를 맡고 있는 김민경입니다.
BMW Financial Services Korea에서는 비즈니스 요건을 파악하고 마켓 내 경쟁 입찰을 통해 가격 경쟁력 있는 재화 및 서비스를 구매하며, 경영활동과 관련한 가치를 창출하는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또한 외부 공급업체와의 서비스 계약 체결 시, BMW 그룹 정책 및 가이드라인에 준하는 파트너 및 공급업체에 대한 위험, 계약 관리를 하며, 본사의 지침과 더불어 현지 법률 및 규정을 고려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과 "포용력(Inclusion)" 입니다.
대부분의 업무가 여러 비즈니스 부서와 다양한 방식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뤄지므로 소통이 가장 중요한 역량이며 더불어 외부 공급업체를 대상으로 전달하는 내용이 다수이므로 정확한 전달과 효과적인 프레젠테이션 능력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소통을 위해서는 상대의 개별 관점에서 공감하고 이해해야 하므로 넒은 범위의 포용력을 동시에 가져야 합니다. 포용력 있는 커뮤니케이션을 하게 되면 비즈니스가 요구하는 요건 사항을 정확히 파악하고, 비즈니스적 관점에서 적합한 공급업체를 발굴, 모색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Orchestration 이라고 표현하고 싶습니다. 굳이 표현하자면 조화를 넘어선 "조율"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업무환경이 오피스와 재택근무가 조화를 이루고 있어 온/오프라인 미팅을 통해 업무의 연속성도 있고, 다양한 행사 및 교육에 직급 상관없이 모두 참여할 수 있도록 오픈된 문화가 그 예입니다. 유연근무제를 통해 개인의 시간 관리 및 업무적 유기성을 놓치지 않고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상호 배려와 존중을 실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양한 세대와 직급과 성별이 모인 환경에서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하는 것은 앞으로도 회사가 가진 가장 큰 매력이자 원동력이 되리라 믿고 있습니다.
Operations.
안녕하세요, 저는 New Business 팀에서 Data Analyst로 일하고 있는 임재균이라고 합니다.
저희 팀은 크게 Credit Acceptance와 Settlement 그리고 Operation 세 파트로 나뉘어져 있어요. 간단하게 설명 드리면, Credit Acceptance 부서는 저희 금융 상품을 이용하고 싶은 고객님이 과연 저희 차량을 이용할 만한 조건이 되는지 심사를 담당하는 파트이고, Settlement 파트는 심사에 통과하신 고객님들이 저희 회사와 계약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파트예요. 과연 고객님들이 제대로 된 서류를 접수하셨는지, 계약 조건을 잘 인지하고 계신지 확인하여 최종적으로 여신 대출을 최종 결재하는 것으로 끝이 납니다. 마지막으로 제가 속해있는 Operation 파트는 팀 내부의 프로세스가 잘 진행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새로운 프로젝트를 담당하기도 한답니다.
그 중에서 저는 데이터 분석가로써, 데이터를 추출하고, 분석하고, 시각화하여 더욱 정확하고, 과학적이게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도와주며 팀 내부 퍼포먼스가 어떤지를 모니터링하고 있기도 합니다.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역량은 데이터 분석가 같은 경우, 제일 중요한 건 소통이라고 생각해요. 다른 담당자들과 원활하게 협업할 수 있는 능력이 제일 필요하며, SQL 실력과 Tableau 실력, 그리고 분석 역량도 갖춰야 한다고 생각해요.
저희 회사는 기본적으로 주에 재택 2회라서 사무실 출근하지 않고 집에서 일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요, 또 풀카 프로그램을 이용한다면, BMW 차량을 연 6회 주말동안 이용할 수 있어서, 회사에 대한 로열티를 높여주는데 한 몫 하기도 한답니다. 마지막으로, 임직원 리스를 이용한다면 1년동안 BMW와 MINI의 신차를 싸게! 이용해볼 수 있는 장점이 있어요. 저도 현재 이용 중인데, 직접 구매하는 것보다 비싸지 않은 가격으로 이용해서 부담감도 덜해요!
안녕하세요 Customer Interaction Services 팀에서 KPI 보고, 본사 및 BMW Korea CRM, AS팀 등 다양한 팀과의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하고 있는 윤여진입니다.
Customer Interaction Services 팀은 BMW 그룹 전략과 연계하여 옴니채널 환경에서의 고객 경험을 정의하고, 최신 기술을 활용한 경쟁력 있고 지속 가능한 솔루션을 도입하고 고객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팀 구성은 금융 상담 센터 SFCS 파트, 차량 상담 센터인 VCS 파트, CIC Operation 파트, 만기관리를 담당하는 End of Term 파트 그리고 Governance 파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제가 속한 Governance는 CIC 디지털 채널의 전반적인 지표들을 보고하고,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다른 부서와 긴밀하게 협력하여 고객 경험 개선과 디지털 채널 강화를 위한 공동 목표를 달성하고 있습니다.
Customer Interaction Services 팀에는 여러 부서가 서로 협업을 하고 있으므로, 유연하고 적응력이 뛰어난 팀플레이어가 필요합니다.
디지털 채널에서의 다양한 고객의 요구사항 분석 능력, 프로세스 개선의 기획력 및 능동적 커뮤니케이션 스킬 등 역량이 필요합니다.
기회와 도전, 성장이 있는 회사여서 좋습니다.
신기술을 활용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때문에, 그 과정 속에서 여러가지 도전 과제를 경험하게 되는데, 그 과제를 해결해 나가면서 성장하고 다른 사람들과 협업하는 스킬을 키울 수 있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Collection & Recovery 채권관리 부서에서 채권기획/운영, 단기/중기채권 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현동섭 매니저입니다.
금융계약 체결 후 월납입금 등이 정상 납부되지 않은 계약에 대하여 회수를 위한 채권추심이 주요 업무입니다.
연체일수 및 고객 신용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채권을 단기/중기/장기로 분류해서 각 구간에 맞는 추심업무를 진행합니다. 채권추심을 수행하는 추심담당자를 관리하는 운영업무와, 회수실적을 분석 및 회수율 재고방안을 마련하는 기획업무도 수행합니다.
계약이 해지된 고객을 대상으로 조기에 채권을 회수하기 위하여 압류/소송 등 법무 업무도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연체 고객이 채무를 탕감 받기 위해서 진행하는 회생, 파산, 신용회복 등 채무조정 업무 및 장기 연체채권의 처분하는 채권매각 업무도 담당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인 채권운영은 여러 추심담당자를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Nice한 커뮤니케이션 Skill이 필요합니다. 채권기획은 채권추심 활동에서 확인되는 여러 데이터를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데이터를 추출 및 요약하는 프로그램 Tool을 사용할 수 있으면 더 효과적으로 업무 처리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법무업무는 특수분야여서 법학을 전공하거나 법률 지식을 가지고 있으면 업무를 맡으실 수 있습니다.
여러 좋은 점이 있지만 대표적으로 유연한 조직문화와 안정적인 근로환경, 재택근무가 대표적인 강점입니다.
호칭을 매니저로 통일함으로써 직원간 상하관계가 아닌 수평적인 관계가 구축되어 있어서 업무 진행 시 누구나 자유롭게 자신의 의견을 말할 수 있습니다.
사무실이 서울 중심지에 위치하고 있어서 서울 또는 경기도에서도 출퇴근이 용이하며, 재택근무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장거리 근무자도 원하는 장소에서 근무가 가능합니다. 외국계 회사로 직원이 충분한 역량과 자질을 갖추면 해외에서 근무할 기회가 있는 것도 매우 매력적인 부분입니다.
안녕하세요, Process Management, Quality 팀에서 근무 중인 안소정입니다.
저희 팀은 크게 세 파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Continuous Process Improvement을 목표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큰 틀에서 전 부서의 프로세스 개선을 위해 문제점을 정의하고 적절한 솔루션을 찾아 프로세스 최적화를 구현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RPA를 통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자동화도 함께 실현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전사 프로젝트 계획 수립과 예산 확보 및 프로젝트 진행 상황도 같이 관리하고 있습니다.
전 부서 및 본사와의 소통을 기반으로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다양한 프로세스 및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협업이 필요한 만큼 유연한 사고와 지속적인 변화에 대응하는 적응력도 중요한 역량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역량을 통해 정확한 의사 전달은 물론 원하는 결과를 도출하는데 있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코로나가 끝나고도 정착한 재택 근무제와 유연 근무제가 늘 언급되는 회사의 장점인 것 같습니다.
그와 더불어 유연한 사내 문화의 영향으로 기회가 된다면 부서 이동을 통한 다양한 업무를 경험할 수 있고, 그 외 다양한 프로그램의 참여 기회가 있어 본사 및 다른 마켓과 교류를 하며 시각을 넓힐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BMW에서 근무 중인 Information Security, Data Protection 팀 박소영입니다.
저희 팀은 전사 보안을 담당하는 팀으로 보안에 대한 내규를 제정하여 이를 전사에 안내 및 시행할 뿐 아니라 국내 법에 의거하여 금융사가 지켜야 할 개인신용정보 보호 등에 대한 활동을 하는 팀입니다.
보안 분야에 대한 지식이 기본적으로 필요하며 특히 우리나라는 개인신용정보보호, 전자금융거래 등의 관련 법이 엄격한 편으로 관련한 내용이 지속적으로 개정되고 있습니다. 이를 계속해서 공부하고 파악하려는 열정이 필요하겠습니다.
경험해보니 주2일 재택근무로 출퇴근의 부담이 적다는 것이 상당한 장점임을 몸소 느끼고 있습니다.
이에 더하여 대리, 과장, 차장 등의 직급 체계가 아닌 모두 매니저인 직급 체계로 수평적인 회사 분위기가 형성되어 있어 효율적인 업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저는 현재 IT 팀에서 DevOps 파트리더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DevOps라는 개념은 IT에서 개발(Dev)과 운영(Ops)을 통합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조직체계 및 프로세스를 말합니다. 저는 BMWFSK에 2017년에 입사하였으며, 제 첫 회사이자 IT 서비스 회사였던 이전 회사에서는 System Engineer로서 사회 생활을 시작했습니다.
저희 회사 IT 팀의 주요 업무는 크게 신규 시스템을 도입하는 업무(프로젝트 파트)와 기존 시스템을 운영하는 업무(DevOps 파트)로 나눌 수 있고, 이 두 주요 업무를 위해 지원하는 Security 파트, Infrastructure 파트가 있습니다.
회사의 비즈니스 역량을 극대화하기 위해, 새로 도입되는 시스템과 기존 시스템을 조화롭게, 안정적으로 잘 운영하는 것이 팀의 궁극적인 목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당연히 IT라는 분야에 대한 지식이 필요한데, 이것은 하나의 시스템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떻게 운영되는 지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말합니다.
구체적으로는 각자 담당하는 분야에 따라 개발언어(Java, Python 등)에 대한 Skill이 우선시되는 분야도 있고, Vendor(파트너사) 관리 역량, 프로젝트 관리 역량 등이 더 중요한 분야도 있습니다. 어떤 분야의 업무이더라도 논리적으로 사고하는 역량과 여러 이해관계자들 사이에서 조화롭게 커뮤니케이션하는 역량은 꼭 갖추고 있어야 할 역량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율성 측면에서, 대부분의 경우 본인의 업무 스케쥴을 본인 스스로 계획 및 조정해 나가면서 업무를 진행할 수 있으며, 사회적으로 코로나19 시대가 끝나고 재택근무제를 점점 철회하는 분위기이지만 저희 회사는 평균 주 2회 정도는 재택근무가 가능하여 근무형태에 대한 자율성도 보장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사무실이 서울의 중앙인 명동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좋고 최근에 리노베이션하여 편리하고 깨끗한 업무환경도 장점입니다.
Customer, Brands, Sales.
저는 2022년 10월 1일자로 BMW Financial Service Sales팀에 Area Manager로 입사한 박성범입니다. 2012년도부터 BMW Korea Sales 팀에서 딜러사의 판매 및 관련 지표들을 관리하는 Area Manager 역할을 해오다가 차량 판매의 핵심 방법 중 하나인 금융상품에 대한 지식과 Career Development를 위해 이직을 하게 되었습니다.
Sales 팀은 딜러사가 차량 판매를 하는 과정에서 고객에게 BMW Financial이 설계한 금융상품을 사용하여 판매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데 금융상품 자체에 대한 교육뿐 아니라 딜러사 및 고객 입장에서 BMW 금융상품을 사용했을 때의 혜택을 공유하고, Sales 현장과의 소통을 통해 더욱 매력적인 금융상품을 만드는데 필요한 프로모션 제안을 본사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우선 딜러사 및 판매를 전담하고 있는 영업 직원들과의 소통이 중요하기 때문에 Communication 능력이 가장 필요한 역량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외 담당하는 딜러사의 금융 관련 지표에 대한 분석력과 금융 관련 법 지식 또한 가지고 있다면 업무에 큰 도움이 됩니다.
BMW Financial Service는 외국계 회사의 장점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본인 및 팀의 업무 Performance를 잘 만들어낸다면 충분히 인정을 받을 수 있으며, 금융회사의 특성일까요? 회사의 분위기가 차분하고 섬세하다 보니 직원들의 작은 요청사항도 많은 부분에서 현실화됩니다.
또한 업무 전환의 기회가 다양하게 제공된다는 점도 직원들 입장에서는 많은 경험을 할 수 있는 장점이며, 이에 따라 여러 부서를 거쳐 장기근속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BMW 파이낸셜 서비스 코리아에서 마케팅을 담당하고 있는 신정희입니다. 업계 리더 자리를 유지하기 위해 고객 맞춤형 마케팅 아이디어를 항상 치열하게 고민하며 업무 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고객이 BMW / MINI 차량을 구매할 때 이용하는 금융상품을 판매하고 있고, 저희 팀은 Marketing, Customer 팀으로 금융상품을 마케팅, CRM 그리고 리스 등에서 반납된 차량을 최종 재판매까지 하는 리마케팅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저는 금융상품 및 프로모션을 마케팅 광고∙홍보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BMW 또는 MINI 를 구매할 때 최적의 구매 프로그램이라는 점을 고객에게 각인 시켜야 하기에 금융상품에 대한 지식 뿐만 아니라 BMW / MINI 차량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차량 모델에 따라 선호하는 금융 프로그램이 다르고 프로모션도 다르기 때문에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시 이 점을 잘 파악해서 하는게 중요합니다. 예로 1,2시리즈 차량은 일반적으로 이자율 낮은 할부 프로그램을 선호하며 7시리즈 같은 대형 세단은 월 납입금 낮은 운용리스 상품을 선호하는 편이기에 1,2시리즈는 저금리 할부, 7시리즈는 리스료 지원 프로모션 등을 강조하는 광고를 진행했었습니다.
저희 회사는 TPO 가 좋습니다. 우선 Time management 할 수 있게 모든 직원이 쓸 수 있는 재택 제도가 있구요. Place 가 명동역에서 5분거리에 위치에 있고, 내부도 스마트 오피스로 최신 높낮이 조절되는 넓은 책상이 있어 근무 환경이 좋습니다. 가장 좋은 점은 HR에서 직원들을 위한 Occasion을 준비해주시는 점입니다. 분기별로 아침에 신선한 과일을 제공해주는 푸룻 데이가 있고, 지구의 날에 비건 쿠킹 클래스, 여성의 날 이벤트 등 다양한 이벤트로 회사 생활을 더 즐겁게 할 수 있습니다.
저는 2015년 Alphera Product Manager로 입사하여 현재 9년째 근무중이며, Alphera, MINI 상품 매니저를 거쳐 현재는 BMW 브랜드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상품팀의 주요 업무는 BMW파이낸셜에서 판매하고 있는 금융 상품의 수익 구조(Pricing) 및 프로모션을 기획하고 운영하며, 영업사원, 금융담당자 등을 지원하는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BMW를 비롯하여 MINI, BPS(인증중고차), 모토라드, 롤스로이스 등 BMW그룹 뿐만 아니라 타브랜드, 중고차 상품을 운영하는 알페라까지 각 브랜드별로 상품을 담당하며, 매달 제조사(BMW Group Korea) 및 세일즈팀과의 협의를 통해 상품/프로모션 기획 업무를 주로 수행하게 됩니다.
또한 독일 본사와의 커뮤니케이션 및 정기적인 리포트 작성, 수익성 분석 등 회사 전체의 타겟 지표 관리 업무를 담당하게 됩니다.
제조사와 및 영업 현장과의 커뮤니케이션이 많기 때문에 커뮤니케이션 스킬이 중요하고, 영업 현장은 상황이 빠르게 변하기 때문에 변화에 빠르게 대처하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Attitude가 무엇보다 중요한 것 같습니다.
또한, 각 브랜드별로 타겟 고객군과 금융상품 이용률 등이 상이한 경우가 많고, 차량의 판매와 실적이 직접적인 연관관계가 있는 만큼 해당 브랜드의 차량에 대한 관심과 배경 지식이 있다면 근무하는 데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유연한 근무환경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율 좌석제/자율 복장이며 근무 유연제가 도입되면서 개인별 업무 사이클에 따라 근무시간을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더 효율적으로 업무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자동차 금융회사인 만큼 회사에서 제공하는 Pool Car, 임직원 리스 상품 등 특별한 복지 혜택도 차를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매력적인 혜택인 것 같습니다. 추가적으로 팀장님이 편하고 자유로운 분위기 조성을 해주셔서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팀원들끼리 협력을 잘 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저는 1965년생으로 국내자동차 할부금융팀과 재무팀에서의 회사일을 시작으로, 외국계 캐피탈 회사, 은행, 국내캐피탈을 거쳐서, 2007년에 BMW Financial Services Korea에 합류하여 재직중인 문원열입니다.
제가 BMW / MINI 딜러회사와 구매고객들에게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로 시작했으며, 타브랜드 신차/중고차 딜러회사와 개별 구매고객에게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더불어 Rolls-Royce 딜러회사와 구매고객에게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 회사의 지점들을 지속적으로 설립해 나가고 있습니다.
Global language 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영어 혹은 독일 회사이니까 독일어라고 생각하시나요? 저는 고리타분하지만 “성실함” 이라고 경험해 온 것 같아요. 성실하기 때문에 배우게 되고, 배우기 때문에 자신의 역량이 강화되고, 그 역량으로 중요한 업무들을 자신 있게 수행해 나가서, 회사내의 핵심 인재로 성장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 원리는 어느 업종, 어느 회사에 몸담고 있어도 작동되는 원리라고 생각합니다.
저희 회사와 BMW Group 전체가 모든 직원들의 “리더십”을 길러주는 일에 매진하고 있는 점이 좋아요. 회사 구성원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 “수치적인 업적”과 “리더십”을 50대 50 비중으로 평가합니다. 회사의 신입사원부터도 리더가 되기 위한 요소들과 코칭들이 시작됩니다. 이론상의 리더십을 이야기하기 보다는 실제적인 업무수행과정에서 리더로서의 역량이 길러지도록 주변의 동료와 선배들, 임원진들이 함께 노력해주는 문화가, 100년을 넘은 지금도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기업을 만들어 낸 원동력이라고 생각합니다.
Risk Management.
저는 Risk management 부서에서 Operational Risk / Anti Fraud management / Strategic risk를 담당하고 있는 이슬기 매니저입니다.
2011년 BMW Financial Services에 인턴으로 입사하여 어느덧 13년 차가 되었습니다. 다양한 부서를 거쳐 현 업무를 담당한지는 2년 반 정도가 되어 가고 있는데요, Risk management 부서의 일원으로 회사의 전반적인 위험 관리를 하여 회사가 합리적인 방향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할 수 있게 한다는 부분과 저희 부서가 회사에 기여하는 역할에 대해 자부심을 느끼며 일하고 있습니다.
Risk Management 팀은 딜러를 포함한 개인 및 기업고객에 대한 자동차 금융업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리스크에 대한 전략을 설정하고, 그 전략에 따라 리스크를 관리하는 것이 주된 업무입니다. 이를 위해 여러가지 리스크 관리지표를 작성하고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며 그 결과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마련하고 수행합니다.
이러한 위험의 범주는 크게 신용리스크, 잔가리스크, 운영리스크, 이자율/유동성리스크, Antri-Fraud 등으로 구분합니다. 신용리스크 파트에서는 거래 상대방의 채무불이행 위험을 식별하고 관리하며, 리스크 측정요소 (PD, LGD, EAD) 등을 산출합니다.
잔가리스크 파트에서는 차량의 불확실한 미래가치로 인하여 발생하는 잠재적 잔가 손실 위험을 측정하고 관리합니다. 운영리스크/Anti-Fraud는 파트에서는 내부 또는 업무상의 과실이나 전산 시스템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회사가 입게 되는 손실을 관리하며, 고객의 Fraud 의심 건을 분석하여 Fraud Risk를 예방 및 사후관리합니다.
이외 이자율, 환율 등 시장 가격의 변동으로 회사가 부담하게 되는 손실 위험을 관리합니다.
각 파트 별 R&R이 명확하게 나누어져 있긴 하나, 리스크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기반이 되어야 하므로 데이터 분석 능력이라는 전문성이 갖춰져야 합니다.
따라서, SQL 및 SAS, Python, R 등의 통계 Tool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역량이 중요합니다. 또한, 정확한 데이터 분석이 중요하므로 꼼꼼함과 논리적인 사고가 필요합니다.
자발적인 학습의지와 MS-Office 능력이 필요하고, Management 보고 및 자료 작성이 영어로 이루어 지므로, English skill 또한 중요합니다. 영업부서 및 Operation 부서 등 유관부서와의 협업이 필수적이므로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중요하고 자동차 금융회사의 상품 및 회계에 대한 이해도가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인턴때부터 BMW Financial Services의 성장을 함께하고 있는 저로서는 회사에서 저의 업무 역량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매 순간 제공한 부분이 가장 좋았는데요, 회사의 중요한 여러가지 프로젝트 및 새로운 일을 통해 다양한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게 기회를 제공하고, 작은 일의 단위가 아닌 자발적인 의지만 있으면 연차에 비해 좀더 폭넓은 일을 익히고 경험할 수 있는 부분이 가장 좋았던 것 같습니다.
또한, 외국계 기업이다 보니 글로벌 하게 일할 수 있는 역량을 쌓을 수 있는 부분이 좋은 것 같습니다. 본사와 소통 하면서 글로벌 하게 일할 수 있고 해외 출장의 기회도 있기 때문에 좀 더 넓은 시각에서 일을 할 수 있다는 부분이 저희 회사에서 일하는 장점인 것 같아요.
Legal & Compliance.
안녕하세요? 컴플라이언스 부서 매니저 윤혜준입니다.
학부시절 컴플라이언스 관련 컨설팅 회사에서의 인턴 경험을 계기로 회사에 입사하여 현재 약 2년 가까이 컴플라이언스 부서에 재직하고 있습니다.
저희 부서의 업무는 회사가 법령을 준수하고 경영을 건전하게 하며 주주 및 이해관계자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임직원이 직무를 수행할 때 준수하여야 할 기준 및 절차를 마련하여 통제하는 내부통제 업무, 회사 업무와 관련이 있는 국내 법령, 규정 및 금융감독원의 가이드라인 혹은 독일 본사의 규정이 새롭게 발표되거나 개정되면 그 내용을 검토 후 내부 규정에도 적용 (영문 번역 등) 및 반영하고, 개정된 규정에 따라 임직원들이 일상 업무를 이행 시 준수하였는지 여부를 정기적 사후 점검 통해 확인하고, 필요시 개선하도록 하는 내부 규정 최신화 및 컴플라이언스 교육, 금융감독원, 여신금융협회와 회사간의 소통창구 역할을 수행하는 대관 업무, 회사가 금융거래제한 대상자와 거래하고, 회사에 자금세탁을 목적으로 한 자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객정보를 꼼꼼히 확인하고, 고객과의 거래 내역을 분석하며 금융거래제한대상자 데이터베이스를 최신화 하고 있으며, 자금세탁 관련 거래로 의심되는 경우 이를 금융정보분석원에 보고하는 자금세탁 방지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 등 관련 법령에 따른 주주총회, 이사회, 이사회 산하 위원회 등의 개최 및 자료 관리, 계약서 관리, 법인 인감 관리, 공시 업무, 약관 심의, 광고 심의 업무 등 소비자보호 관련 업무 등도 컴플라이언스 부서에서 담당하고 있습니다.
컴플라이언스 부서가 회사의 전체적인 내부통제를 수립·관리하는 업무를 하고 있으므로 이를 수행하는 데 중요한 역량은 사규 및 관련 규정에 대해 전반적인 이해도가 필요로 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또한 본사의 규정과 시스템이 모두 영어로 구현되어 있어 영어 활용 능력이 필요합니다.
회사가 재택을 권장한다는 점을 꼽을 수 있습니다.
주 2회의 재택근무 덕분에 출퇴근을 하며 겪는 피로가 상대적으로 적고, 퇴근 후 운동, 자기개발 등 개인적인 시간을 가질 기회가 많습니다.
BMW 파이낸셜 서비스 코리아에서 감사팀장을 맡고 있는 김영임입니다.
2005년 입사 이후 회사가 저에게 준 다양한 부서에서의 근무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는 회사의 업무 및 프로세스가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처리되고, 법/규정을 잘 따르며 운영될 수 있도록 잠재적 위험을 미리 예방하며, 내부리스크를 줄여 건전한 경영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팀 명에서도 아실 수 있듯이 “감사”를 하는 부서이면서, “감사”업무를 통하여 다양한 직무에 대한 간접경험을 할 수 있는 부서이기도 합니다.
감사대상이 되는 업무 영역에서의 리스크를 사전에 식별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조언해 주는 부서이기도 합니다. 각 비즈니스영역에서 지켜야 할 법/규정 등은 잘 따르고 있는지, 현존하는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 좀 더 효율적으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 지 등을 함께 고민하고, 현업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전반적인 비즈니스 영역을 감사하기 위하여서는 다양한 영역의 지식 및 경험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또한, 법을 잘 알고, 규정에 대한 높은 이해도가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업무 영역을 배워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항상 자기계발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회사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BMW 파이낸셜 서비스 코리아 소비자보호부서의 이승기 팀장입니다.
소비자보호팀은 고객에게 피해발생이 우려되거나 피해가 발생한 경우 적절한 대응방안을 마련하여 조치하고 재발방지를 위해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민원처리업무와 금융상품을 개발하고 판매하는 과정에서 금융소비자에게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점검하는 업무, 청약철회, 위법계약해지, 자료열람요구와 같은 소비자의 권리행사가 제대로 이행되도록 관리 점검하는 업무, 금융소비자의 의견을 청취하고 소비자만족도를 분석하여 개선안을 도출하는 업무, 불완전판매가 발생하지 않도록 금융소비자보호 교육 등의 업무를 하고 있으며, 금융소비자보호에 필요한 내부통제를 마련하고 내부통제가 제대로 이행되고 있는지 점검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민원처리업무에는 불만 및 피해가 발생한 민원인의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고 이해하는 역량 그리고 상황에 맞게 응대하는 역량이 요구됩니다. 이러한 응대역량은 약관/법령 등 판매하고 있는 금융상품에 대한 폭넓은 지식이 요구되고, 밝고 긍정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하는 고객 서비스의 포괄적인 이해와 마인드를 기반으로 음성 및 서면에서 뛰어난 의사소통 능력이 요구됩니다.
소비자보호 내부통제 업무에는 금융소비자보호법의 전반적인 지식이 필요하며, 금융상품의 구조, 판매절차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금융소비자에게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점검하고 미흡한 절차나 시스템을 개선하는 업무역량이 요구됩니다.
유연근무 및 재택근무 제도, 직원리스 프로그램, 부모와 배우자의 부모 단체상해보험 프로그램 등이 좋은 것 같습니다.
HR.
저는 BMW 파이낸셜 서비스 코리아 HR 팀에서 보상/복지 분야를 맡고 있는 안수빈 매니저입니다.
BMWFSK의 HR은 회사의 핵심 자원인 직원들을 관리하고, 직원들이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며 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팀입니다.
채용부터 교육, 복지, 조직 문화까지 모든 부분에서 회사와 직원들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HR 팀은 여러 강점을 가진 사람들이 다양하게 모여야 시너지를 낼 수 있어서 필요한 역량을 하나만 꼽는 것이 어렵지만, HR 업무를 할 때 가장 필요한 역량 중에 하나는 대인관계력이라고 생각합니다. 목표를 향해 가다 보면 과정에서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는데, 이 때 조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상대방의 협조를 이끌어 내는 것이 대인관계능력의 핵심이라고 느껴집니다. 저도 역량을 기르기 위해 주위의 여러 선배 매니저님들을 보고 배우는 것 같습니다.
저는 인턴부터 시작해서 정규직으로 근무하고 있는데요. BMWFSK는 주니어 직원들에게 필요한 시점에 다양한 경력 개발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해 선배들의 경험과 실무 능력을 배우기도 하고, 주니어지만 중요한 프로젝트를 참여해서 의견을 내기도 합니다. 또한 내부 채용 공고를 보고 인턴 분들이 정규직이 되기도 하고, 다른 부서 분들이 본인이 원하는 부서로 이동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